[문화일보 : 2018-04-06]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기고>원안위, ‘原電 없는 안전’ 도모하나
지난해 10월 20일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에 관한 공론화 결과가 발표됐다. 19%포인트라는 큰 차이로 신고리 5·6호기 건설이 재개됐다. 그런데 문제는 공론화위원회가 정부의 입맛에 맞는 두 가지 권고를 무리하게...
_more조회수 : 4102
[전기신문 : 2018-04-06] 박상덕 수석(월요객석)원전수출 촉진방안
최근 보도에 따르면 산업부장관이 UAE 방문에 이어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해 원전 세일즈에 나섰고 문재인 대통령도 우리나라 원전 홍보를 위하여 중동, 베트남 등을 방문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국내 원전건설을 반...
_more조회수 : 4118
[중앙일보 : 2018-04-02]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비즈 칼럼] 원안위가 국민을 안심시키지 못하는 이유
국민이 원자력발전의 안전성을 의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사실 의심의 근거는 명확하지 않다. 대다수의 선진국은 원전을 활용한다. 심지어 미국이나 일본, 러시아는 대형 원전 사고를 경험하고도 원전을 포기하지...
_more조회수 : 4038
[에너지경제 : 2018-03-28]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E·E칼럼] 文 정부의 원전 모순 어떻게 할까요?
부조리(不條理)의 뜻은 말, 글, 일, 행동에서 앞뒤가 들어맞지 않고 체계가 서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6개월 전 고리1호기 가동 영구정지식에서 대통령은 고리1호기의 가동정지가 탈핵국가의 출발이며 안전한 대...
_more조회수 : 4106
[문화일보 : 2018-03-27] 주한규 센터장<포럼>‘바라카 축복’ 국내 反원전도 접을 때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原電) 1호기의 완공식이 26일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문 대통령은 UAE 언론 인터뷰에서 바라카 원전은 양국 관계에서 축복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현장 근로자와 대...
_more조회수 : 4106
[대학신문 : 2018-03-04] 주한규 센터장기후변화 대응에 역행하는 탈원전 정책
정부는 지난해 말 발표한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8차계획)에 탈원전 정책을 구체화했다. 8차계획에 따르면 현재 30% 정도 되는 원자력 발전 비중은 2030년에 24%로 감소한다. 탈원전 정책은 안전과 환경 우선이라...
_more조회수 : 4141
[조선일보 : 2018-02-26]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발언대] 전북교육청의 섬뜩한 탈핵 교재
전북도 교육청이 탈핵(脫核) 교재를 발간해 초·중·고 학생에 대한 교육을 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과학 담당 교사와 교육지원청 담당 장학사에 대한 대대적인 연수도 수행되었다. 또 이 교재를 타 시·도에 배포하...
_more조회수 : 4106
[중앙일보 : 2018-02-13] 주한규 센터장[시론] 원자력안전위 독립성이 생명이다
원안위 상임위원 2명 전격 교체
임의 교체는 윈안위 독립성 훼손
미국도 규제 권한의 독립성 보장
이념 아닌 과학 잣대로 판단해야
지난해 말 탈원전 주창자인 강정민 박사가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 위원장...
_more조회수 : 4064
주소 :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36동 411호 / TEL: 02-880-7231
COPYRIGHTⓒ SNEPC All Rights Reserved.
본 홈페이지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자동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하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