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팩트체크는 인터넷 매거진 여시재 인사이트에 2020년 9월 15일자로 게재된 ’탈원전
논쟁, 제대로 이해하면 필요 없다’라는 글 (필자 김대경 전 아시아개발은행 선임에너지전문가) 내용 중 “원전의 기후변화 대처에 기여하는 정도가 미미할 것임”에 대한 사실확인을
제공합니다.
본 팩트체크는 “서울대학교 원자력정책센터/팩트체크/핫이슈”에 등재된
“여시재 인사이트 게재글 (탈원전 논쟁, 제대로 이해하면 필요없다) 팩트체크”의 1번째 항목으로서 전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핫이슈”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주장의
내용
- UAE 수출은 운이 좋았던 덕분이고 다른 나라로 추가 수출은 불가능할 것임.
2) 문제점
- 국제적 대형 사업 결정이
운에 따라 결정된다는 주장은 터무니 없고, 다른 나라에추가 원전 수출을 할 수 없다는 주장은 본인의
편견에 불과함.
3) 사실
- UAE는 원전 기술력이 없지만 사업자를 선정할 때 세계 각국의 전문가를 동원하여 엄격하게 각국의 원전 기술력, 가격, 품질을 평가하여
APR1400을 선정하였음
- APR1400은 미국 NRC의 설계인증을 받았기에 추가 수출에 유리하며, 유럽형 원전에 대해서는 이미 이중격납건물과 Core Catcher를
적용한 설계를 통해 유럽원전사업자 요건 충족 인증을 획득한 바 있음 (2017년 9월 15일자)
4) 배경과
분석
- EPR 보다 못하지 않은 APR1400의 경쟁력
- 원전의 경쟁력은 가격과 기술력 그리고 품질이 좌우함
- 최대의 경쟁자였던 EPR은 이중격납건물과 Core Catcher가 있어 표면적으로 APR1400 보다 설계적으로
우수한 것처럼 보이지만 그렇지 않음
- APR1400의 격납건물은 콘크리트 내벽에 스틸
라이너가 설치되어 있어 사고 시 방사성물질의 방출을 막아주는 방벽 역할을 함
- 하지만 EPR은 콘크리트 내벽을 에폭시 코팅으로
마감했기 때문에 콘크리트 크랙 발생 시 격납건물 내부의 방사성기체를 막는 방벽 역할을 완벽하게 할 수 없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이중격납건물을 설치한
것임
- 최근 EPR2는 APR1400처럼 단일 격납건물에 스틸 라이너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설계를 변경하였으며 Core Catcher 역시 설계개념의 차이에서 유래한 것이지 그 설계가
APR1400의 IVR-ERVC 보다 더 좋다고 말할 수 없음
- APR1400 선정과 건설 및 운영시 UAE의 엄격성
- UAE는 원전 기술력이 없지만 사업자를 선정할
때 세계 각국의 전문가를 동원하여 엄격하게 각국의 원전 기술력, 가격,
품질을 평가하여 APR1400을 선정한 것임
- 아랍 상인들의 기질에 기반을 둔 이러한 엄격한 감리 후 선정된 결과를 단순히 운이 좋았던
것이라고 평가할 수는 없음
- UAE는 바라카 원전의 건설과 운영 과정에서도
외국 전문가들을 대거 초빙하여 한국의 독주를 견제하면서 엄격하게 건설과 운영을 감리해왔지만, 종국에
바라카 원전은 성공적으로 건설되어 1호기는 최근 80% 출력
생산을 달성한 바 있어, 우리 원전 기술력의 우수성을 다시 한 번 전세계에 입증함
- 미국의 소형 모듈형
원전 (Small Modular Reactor) 집중 이유
- 미국이 대형 3세대 원전 건설 보다는 SMR에 집중하는 것은 수십 년간 원전 건설이 없어 건설인프라가 붕괴되었고 이로 인해 공기가 지연되고 건설비가
대폭 상승함에 따라 대형원전 건설 자금의 금융 조달이 부담이 된데다, 셰일 가스 발전 원가 하락에 따른
대형 신규원전 경쟁력 저하가 그 원인이 됨
- 대형원전에 대한 대안으로 미국에서는 소규모이므로 건설비가 일단 싸고, 피동화, 모듈화와 같은 기술 혁신으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SMR 개발에 주력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