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 窓]에너지 믹스, 전력망 안정성 고려해야

입력
수정2024.01.24. 오전 4:16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주한규 원자력연구원장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이 막바지 단계에 이르러 다음달 초 발표될 예정이다. 이 계획에는 지속적인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아울러 신규원전 건설계획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제10차 계획에서는 2030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발전 에너지 믹스를 원자력 32.8%, 신재생 21.5%, 석탄 21.2%로 설정했다. 2023년 신재생발전 비중은 9.5%인데 앞으로 7년 동안 2배 이상 확대돼야 한다. 이 신재생 확대목표는 제11차 계획에서 다소 조정이 있겠지만 크게 바뀌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도전적인 목표설정은 전력망 안정성 확보라는 과제를 부과했다.

일반적으로 재생에너지는 분산전원으로 인식된다. 대표적 재생에너지원인 태양광 발전시설은 입지요건에 큰 제약 없이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수요지 인근에 바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장거리 송전망 건설부담이 적을 것이라는 게 장점으로 부각된다. 그러나 실제 설치된 태양광시설 현황을 보면 그렇지 않다. 최신판 한국전력통계월보를 보면 2023년 11월 현재 우리나라의 태양광시설 총용량은 23.7GW인데 이중 42%가 호남지역에 설치됐다. 수도권은 6.8%에 불과하다. 반면 전력수요 비중은 수도권이 39%인데 비해 호남지역은 12%로 낮다. 호남지역에 태양광시설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은 경제성 있는 설치가 가능한 토지가 많아서다.

태양광 발전시설은 각 지역 배전망에 물려 있어 생산된 태양광 전력은 일단 지역의 전력수요를 충당한 뒤 잉여전력이 송전망을 타고 다른 지역으로 송출된다. 아직까지는 호남지역의 태양광 발전량이 지역의 수요를 다 충당할 정도는 아니지만 2030년 태양광 설비용량이 지금의 2배 이상 되면 정오 무렵 시간대의 호남지역 태양광 발전량이 지역 수요를 초과해 수도권으로 송출이 불가피하게 된다.

제10차 계획에 따르면 신재생 발전비중 20% 이상 달성을 위해 풍력발전 설비가 현재의 10배가량인 19.3GW로 계획돼 있다. 이는 최신 원전 14기 정도에 해당하는 대규모 용량이다. 이런 풍력발전도 상당부분 호남 해상지역에 예정돼 있어 수도권 송전 부담을 가중시킨다.

태양광이나 풍력발전을 수용할 송전선은 출력의 변동성 때문에 실제 평균적으로 이용하는 전력에 비해 5~6배 큰 용량으로 건설해야 한다. 당초 기대한 분산전원으로서 장점과 달리 재생에너지 확대와 더불어 송전망의 대규모 확충부담이 가중되는 것은 사실이다. 여기에 더해 직류전원인 태양광 발전량이 날씨변화에 따라 급변할 때 교류전력망에 초래할 불안정성은 추가적인 부담이다. 회전력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교류발전기는 회전 관성이 있어 순간적인 부하변동에는 관성으로 대응할 수 있지만 태양광 발전비중이 높아져 교류발전기가 줄어들수록 그 관성이 약해져 전력망이 불안해질 것이다. 전력전문가들은 소위 무효전력의 감소도 전력망의 불안정성을 가중시킬 것이라고 우려한다.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송전망 확충부담과 전력망 안정성 저하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ESS(에너지저장장치)를 대폭 확대하는 것이다. 태양광 발전량이 많아지는 한낮에 발전량의 반 정도를 저장했다가 밤시간에 쓸 수 있도록 해야 재생에너지의 실질적 확대가 가능해진다. ESS가 고가이기는 하지만 송전선 건설비용은 경감해줄 수 있으니 비용의 득실을 분석해 적정용량을 정할 수 있을 것이다.

들리는 바로는 제11차 계획에서는 전력망 안정성을 고려해 에너지 믹스를 결정하고 있다고 한다. 기존 최대전력 수요충족과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만 고려한 에너지 믹스에서 진일보한 조치다. 그러나 보다 실질적으로는 전력전문가가 대거 참여해 신규 발전기의 용량과 위치에 따른 전력망 안정성 분석과 비용분석을 통해 실현 가능한 에너지 믹스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