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간 134만t,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시작
2011년 원전 폭발이후 12년만에
어제 210t… 17일간 7800t 바다로
IAEA 검증 “삼중수소 등 정상범위”… 韓총리 “수산물 수입제한조치 유지”
이날부터 도쿄전력과 함께 후쿠시마 방류 현장에서 상주에 들어간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홈페이지에 오염수 내 잔류 방사성 물질 농도 등을 공개했다. 방류 첫날 공개된 삼중수소 농도, 방사선량 등은 모두 기준치 이하였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하고 “일본 정부가 앞서 발표한 조치에 따라 방류한다면 한국은 크게 걱정할 이유가 없다고 보고 있다”며 “일본 정부에 앞으로 30여 년간 계속될 방류 과정에서도 투명하고 책임감 있게 정보를 공개하기를 기대하고 촉구한다”고 말했다. 일본 후쿠시마와 인근 7개 현 수산물의 수입을 금지한 우리 정부 조치와 관련해 한 총리는 “견고하게 유지하겠다”고 강조했다.
인근 수산물시장 평소와 다름없어
어민들 “방류 당일되니 걱정 커져”
日 대형마트들, 후쿠시마産 판촉
24일 일본 후쿠시마현 최대 어항(漁港)인 이와키시 오나하마항. 이날부터 오염수를 방류한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약 66km 떨어진 이 항구에는 어선 수십 척이 정박해 있었다. 인근 수산물 시장에서는 평소와 다름없이 수산물 거래도 이뤄졌다. 하지만 어민들 속은 타들어 갔다. 다카하시 도루 후쿠시마 저인망어업조합회장은 “(방류를) 절대 반대한다고 해도 (오염수를) 흘려 버린다는 건 알고 있었다. (우리가) 직접 감시하는 것도 아닌데 얼마나 버리는지 알 수가 없다”며 말을 흐렸다. 일본 정부가 이날 하루 방류량을 200∼210t 수준이라고 밝혔지만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불안감을 표출한 것이다.
후쿠시마 어민들은 걱정을 감추지 않았다. 오나하마항에서 만난 한 어민은 “뉴스로 계속 접했는데 막상 (방류) 당일이 되니까 마음이 좋지 않다. (후쿠시마 수산물) 평판이 나빠질 게 제일 걱정”이라고 말했다.
일본 주요 대형마트들은 후쿠시마산 수산물 판매를 계속하겠다며 판촉에 나섰지만 큰 효과는 없다. 일본 주간지 도요게이자이에 따르면 후쿠시마 인근 미야기현산 가리비 값은 올 6월 1kg당 530엔에서 이달 400엔으로 떨어졌다. 7월 1.3t이던 출하량도 최근 절반 이하인 600kg으로 감소했다.
일본 최대 수산물 도매시장인 도쿄 도요스시장 일부 업체는 이날 중국 등의 수입 금지 조치로 납품을 중단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후쿠시마 제1원전에 있는 탱크 1046개에는 오염수가 총 약 134만 t 담겨 있다. 지금도 지하수, 빗물이 망가진 원자로에 유입되며 오염수가 계속 생겨나고 있다. 빗물 차단 시설 등을 설치해 오염수 발생량이 줄기는 했지만 2011년 원전 폭발 사고 후 12년이 지난 지금도 어디에서 발원하는지조차 모르는 지하수 물줄기가 존재한다.
후쿠시마 제1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비롯한 정화 설비를 통해 방사성 물질 핵종을 제거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탱크에 보관 중인 오염수 중 ALPS 처리를 거쳐 방사성 물질 농도가 기준치 이하인 것은 35%(41만8500㎥)에 그친다. 나머지 65%는 재처리 등이 필요하다. 특히 전체 오염수의 5%는 방사성 물질 농도가 기준치의 최대 1만9909배에 이를 만큼 오염이 심각하다.
도쿄전력은 ALPS를 가동하면 방사성 물질 농도나 일정에 문제가 없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계획에 차질이 빚어지면 방류 기간은 30년보다 더 늘어날 수 있다. 2011년 원전 폭발 사고 직후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이 보여준 미숙하고 불투명한 대응 조치 때문에 신뢰감도 그리 크지 않다.
후쿠시마현과 맞붙은 이바라키현의 오이가와 가즈히코 지사는 이날 “도쿄전력에 대한 불신이 불안을 불러일으킨다. 경영 편의를 위해서가 아니라 어민 입장에서 대응해 달라”고 촉구했다. 최근 일본 아사히신문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75%는 ‘일본 정부의 소문 피해 대책이 충분하지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