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에너지전환 본격화… 한전·가스공사, 2년만에 뒤바뀐 ‘명암’

에너지전환 본격화… 한전·가스공사, 2년만에 뒤바뀐 ‘명암’

기사승인 2019. 02. 26.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한전, 사상 최대 흑자서 2200억 적자
가스공사, 40% 실적 점프… 수소경제 주역
KakaoTalk_20190225_180758034
‘사상 최대 흑자에서 천문학적 적자로, 통폐합 논의 대상에서 40% 실적 점프 주인공으로’. 불과 2년 만에 엇갈린 우리나라 대표 에너지공기업 한국전력공사와 한국가스공사의 명암이다. 업계에선 새로운 에너지정책 추진에 대한 영향이 본격화되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25일 관련업계 및 증권사 컨센서스에 따르면 오는 28일 실적 공시를 앞두고 있는 가스공사는 지난해 1조3000억원대 영업이익이 예상된다. 2년 전 9176억원과 비교하면 40% 이상 급증한 수치다. 이는 같은 기간 12조원 흑자에서 2080억원 적자로 어닝쇼크를 기록한 한전과 대비되는 대목이다.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전환정책 시행 전인 2016년만 해도 상황은 180도 달랐다. 한전은 2년 연속 10조원대 역대급 실적을 경신하며 부채 감축에 성과를 냈다. 2014년 초 불과 560억원이던 한전 배당금은 2016년 1조9900억원으로 뛰어 올랐다. 반면 당시 가스공사는 가스산업의 불투명한 전망에 따라 석유공사와 통합설이 불거졌고 해외자원개발 사업의 손실로 공사 전체 실적도 감소세를 보여왔다. 2016~2017년 배당금을 주지 못한 배경이다.

2년 만에 달라진 현실을 두고 발전업계에선 정부의 에너지 전환 키를 쥐고 있는 양 기관의 역할과 상황이 서로 다르다는 점을 주요 원인으로 꼽는다. 발전업계 관계자는 “에너지공기업 맏형이라는 이유로 한전은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재무적 부담을 감내하고 있다”면서 “반면 가스공사는 가스가 친환경 흐름에 맞는 에너지원으로 지목되며 최대 수혜를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한전은 영업환경 변화에 따른 원가 상승요인을 전기료에 반영해야 함에도 현실화하지 못하고 있다. 전기료 인상이 에너지 전환의 후폭풍이라는 여론 비판을 정부가 우려하고 있다는 게 업계의 지배적 목소리다. 업계에선 원전 가동률 상승에 따른 2분기 이후 실적 개선을 점치면서도 전력요금체계 개편, 환경급전 확정, 9차 전력수급계획을 위한 제도변화가 없다면 재무 개선엔 한계가 있다는 분석이다.

그 사이 가스공사는 통폐합 우려를 벗었다. 공사의 존재감과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해외자산 매각 수준의 경영정상화 방안이 모아졌다. 발전용 LNG 수요가 늘고 있을 뿐 아니라 수소경제의 기반을 가스공사가 맡게 되면 전망은 한층 밝아진다. 국제해사기구(IMO) 환경규제가 본격화되면 LNG를 연료로 한 선박이 늘면서 관련 수요도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추후 남북경협에 따른 러시아 PNG 사업 기대감은 덤이다.

이런 추세를 반영해 2016년 주당 6만원대를 호가하던 한전 주식가치는 이날 종가 기준 3만4000원 수준으로 떨어졌고, 반대로 당시 3만원 중반대로 형성됐던 가스공사는 이날 5만2900원으로 마감했다.

한전은 올해 허리띠를 더 졸라매기로 했다. 한전 측은 “지난해 한전과 자회사들은 비용절감 및 수익창출로 1조9000억원의 재무개선 성과를 달성했다”며 “올해도 전 직원의 아이디어를 담은 특단의 자구노력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가스공사는 최근 2년간 배당을 주지 못했지만, 이번엔 고배당 정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가스공사 측은 지난해 8월 가진 2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을 통해 “우호적인 대내외 환경을 최대한 활용해 고배당이 실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