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원전 3~4기론 부족… 에너지안보 위해 더 필요”

입력
기사원문
박수진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전력수급계획’이달중 공개

전문가들 추가 건설 목소리

첨단산업에 전력수요 폭증

재생에너지만으론 역부족

文정부‘탈원전’이후 대전환


이르면 2월 중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초안 공개를 앞두고 신규 원전 규모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고조되는 에너지 안보 위기 및 인공지능(AI) 확산으로 인한 에너지 다소비 시대를 맞아 미국·영국·프랑스 등 주요 선진국이 일제히 원전 활용도를 높여가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무탄소·안정성·경제성 3박자를 갖춘 발전원인 원전 확대 요구가 커지고 있다. 11차 계획에 4기 안팎의 신규 원전이 포함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면서 일각에서는 전력 수요 급증을 고려해 더 늘려야 한다는 주문도 나온다.

5일 관가와 에너지 산업계에 따르면, 전력전문가·유관기관·정부로 구성된 전기본 수립 총괄위원회가 이달쯤 11차 전기본 초안인 실무안을 발표한다. 전기본은 전력 공급·수요 전망과 관리, 발전 설비 확충방안을 담아 2년에 한 번씩 만드는 15년 단위의 중장기 계획이다.

윤석열 정부 첫 전기본이었던 10차 계획의 경우 문재인 정부 때와 견줘 2030년 원전 비중을 32.4%로 8.5%포인트 끌어올리고, 대신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21.6%로 8.6%포인트 낮춘 것을 뼈대로 했다. 여기에 이번 11차 전기본은 2015년 7차 전기본 이후 9년 만에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이 담긴다.

에너지 업계와 학계에서는 급변하는 산업 및 에너지 수급 환경을 고려하면 원전 확대가 필수적이라는 분석을 내놓는다. AI·첨단산업 시장이 급격히 커지고 전기차 확산 등 전기화에 따라 큰 폭으로 늘어나는 전력 수요에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우리나라가 미래 먹거리 육성 수단으로 추진 중인 용인 반도체클러스터의 경우 2050년 수도권 전력 수요의 25%가량인 10GW 이상의 전력을 필요로 할 전망이다.

윤석열 대통령도 지난달 15일 민생토론회에서 “민생을 살찌우기 위해서라도 원전 산업은 계속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가격이 저렴하고 공급이 안정적이고 탄소배출이 가장 낮은 수준인 원전 특성은 탄소중립·첨단산업 육성·에너지 안보 대응에 효과적이라는 설명이다. 2022년 기준 원전 발전단가는 ㎾h당 52.5원으로 태양광(191.5원), 풍력(191.7원)의 거의 4분의 1에 가깝다. 이에 더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글로벌 에너지 위기가 촉발되면서 연료 비축이 용이하고 간헐성이 없는 원전은 에너지 수입 의존도를 낮출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급부상했다. 이산화탄소배출 계수도 ㎾h당 10g 정도로 태양광(54g), 풍력(14g)을 밑돈다.

정범진 한국원자력학회 회장은 “3∼4기 추가 건설로는 부족할 수 있다”며 “탄소중립과 전기화에 따른 수요를 정밀하게 예측해 원전 건설 규모를 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